[출근길 인터뷰] 본격적인 '모내기철'인데, 외국인 근로자가 희망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본격적인 모내기 철입니다.<br /><br />농업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밥 한 끼만 굶어도 잘 알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런데, 농업인구가 해가 갈수록 줄면서 비상입니다.<br /><br />올해도 걱정입니다.<br /><br />이 문제 출근길 인터뷰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 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이민재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입니다. 오늘은 송미령 박사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송미령 / 농촌경제연구원 박사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가장 먼저 농업 인구가 얼마나 부족한 상황인 건가요.<br /><br />[송미령 / 농촌경제연구원 박사]<br /><br />지금 우리 농가 인구는 103만 호이거든요. 그런데 우리 농가에 속해 있는 농가인구 전체로는 221만 명이에요.<br /><br />그런데 이 숫자가 많아 보이는 것 같지만 10년 전하고 비교하면 70만 명 정도가 줄어든 규모이거든요.<br /><br />그러니까 농가로 하면 12만 호지만 농업 인구 전체로 하면 70만 호가 줄었어요. 10년 동안. 그럼 매년 7만 명씩 줄어든 거잖아요.<br /><br />게다가 이 감소에 더해서 지금 남아 있는 우리 농가들의 연령을 보면은 평균 연령이 67.2세입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서 굉장히 고령화가 심하다는 걸 알 수 있거든요.<br /><br />그러니까 숫자도 줄고 고령화도 심화되고 이러다 보니까 일손이 부족하다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는 그런 형편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농업 인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분야는 어디인가요.<br /><br />[송미령 / 농촌경제연구원 박사]<br /><br />우리 벼농사 같은 경우에는 기계화율이 99%나 돼요.<br /><br />그래서 일손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진 않은데 상대적으로 노지에서 고추나 양파 등을 재배하는 밭작물 재배업 분야가 특히 일손이 많이 부족한 분야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귀촌하는 인구는 얼마나 되는지 또 이 인구가 농업인구 부족 문제에 얼마나 해결이 될지도 궁금합니다.<br /><br />[송미령 / 농촌경제연구원 박사]<br /><br />귀촌은 농촌에 와서 사는 인구잖아요.<br /><br />근데 귀농 귀촌 인구를 다 포함하면 매년 귀농 귀촌하는 인구가 50만 명 정도가 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중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순수 귀농 인구는 2만 명이 채 되지 않아요.<br /><br />그러니까 매년 아까 대략의 통계로 7만 명씩이 빠져나갔다 줄어들었다라고 말씀드렸는데 근데 2만 명씩이 더해져도 상당히 이제 부족한 편이라는 걸 알 수 있죠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그렇다면 외국인 노동자 투입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는 걸까요.<br /><br />[송미령 / 농촌경제연구원 박사]<br /><br />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고요.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외국인들이 우리 농업 분야에 종사하는 것을 많이 하시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내국인 노동자도 부족하고 하다 보니까 지금 절대적으로 외국인 노동자에 의존하고 있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이민재 캐스터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